훈육
-
사회의 질서와 규칙을 가르치고 도와주는 일육아 2022. 8. 24. 12:37
태어나서 처음 몇 년간은 부모의 사랑을 충분히 받으며 자라는 아이는 세상을 살아갈 수 있는 힘이 충분히 채워진다. 그렇지만 힘만으로 세상을 안전하게 살아갈 수는 없다. 사회의 질서와 규칙을 알아야 한다. 규칙을 지키는 일 규칙을 모르거나 지키지 않으면 당연히 크고, 작은 사고가 끊임없이 생겨나게 된다. 만약에 아이에게 부모의 사랑이라는 힘이 충분하지 못하다면, 혼자서 헤쳐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힘을 충분히 채워주어야 한다. 이런 아이들은 사회질서와 규칙이 급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해 주자. 그런데 힘은 충분하지만 사회의 질서와 규칙을 모르는 아이들의 경우는 힘만 있고, 규칙을 지킬 줄도 지켜야 하는지도 모른 상태에 있는 것은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생각해보자. 훈육은 부모의 의무 훈육은 아이가 사회에서..
-
훈육과 폭력은 다르다육아 2022. 8. 23. 12:58
제대로 된 훈육은 소리를 지르지 않는다. 화내지 않는다. 아이를 때리지 않는다. 화가 나 훈육하든, 훈육을 하다 화내든 모두 폭력인 것이다. 화가 나서 나온 행동을 훈육이라고 우기는 경우가 많이 있다. 절대적 가치를 알려주는 법 아이에게 가르쳐 주고 싶은 가치 있는 것을 알려줄 때도 방법이 있다. '무슨 이유에서든 사람이 사람을 때려서는 안 된다.'는 것 같은 절대적 가치를 말하는 것. 때리는 것을 가르칠 때 때리는 것으로 가르치는 게 말이 되는 것인가. 안 아프게 때리거나, 한 대만 때리거나, 겁을 주는 행동을 하는 것도 의미가 없다. 매로 아이를 가르치면 '필요하면 다른 사람을 겁주거나 때려도 된다고' 생각하고 배울 수 있다. 절대 그렇게 돼서는 안 된다. 훈육을 해야 하는 행동 가정은 개인적이면서 ..
-
달랠 수 없는 이유육아 2022. 8. 4. 10:45
잘 달래지지 않는 아이들은 있다. 세 가지 경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워낙 예민한 아이. 외부에서 오는 여러 가지 자극이나 상황을 과도하게 받아들이는 아이들이 있다. 자극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영향을 많이 받는 경우인데. 아이가 과민하다면 부모 중 한 사람이 과민한 경우가 많이 있다. 생물학적인 특성이 대부부 부모와 닮아 있기 때문이다. 아이가 나를 닮으면 아이를 통해 나를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와 같지만 내가 그럭저럭 살고 있는 것처럼 아이도 조금만 노력하고, 도와주면 잘 크지 않을까 생각한다. 아이가 예민한 부분에서 부모 자신도 과민하게 대하고 있는지 생각해 봐야 한다. 그렇게 아이를 대하는 태도를 바꿔가는 것이 좋다. 부모가 자신의 모습을 봤을 때 어릴 때는 몰라도 지금은 문제가 되..
-
아이에게 존중으로 가르쳐주자육아 2022. 7. 23. 12:25
아이도 수치스럽게 생각한다. 공공장소에서 아이를 혼내면, 아이는 어떤 기분일까요? 어린아이도 자존심이 있고, 수치심도 느낍니다. 부모는 나를 보해해 주는 사람이고, 나를 사랑해주는 사람인데, 나를 수치스럽게 만든다면, 슬픔을 느낄 것입니다. 이런 일 자주 발생한다면 부모가 옳은 얘기를 해주고, 혼내는 것이 아닌데도, 아이는 부모가 말만 하면 수치심을 느끼기도 한다. 공공장소에서 아이가 뛰면 못 뛰게 해야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큰 소리를 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아이를 존중한다면 더욱 그러면 안 되는 것이다. - 혼내고 화내고 성질내면서 교육을 한다고 착각하지 말자 - 내가 나의 단점을 바로 교정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보자 아이도 자기가 떠드는 것보다 부모가 소리를 지르면 더 시끄러운 것 정도는..
-
기다려달라고 이야기 하기육아 2022. 7. 13. 09:48
기다림도 가르치는 것이다. 아이가 참지 못하고 기다리지 못한다고 해도 참고 기다리는 것을 가르처야 하는 것이다. 흔히 생각하는 방법이 아닐 수 있다. 내가 무언가를 하고 있으니 조금만 기다려 달라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사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이가 기다리다가 소리를 지를 수도 어떤 반응을 보일 수 있다. 호락호락한 것은 아니다. 아이가 부모의 사정을 봐주는 것은 아니다. 이전까지 해본 적이 없는데 기다리라고 기다릴 수 없을 것이다. 울고 때를 쓸 것이다. 그래도 기다려 주어야 한다. 아이가 어떤 말을 하던지 어떤 행동을 한다고 해도 말이다. 하지만 부모가 울고 때를 쓰는데 가만히 있지는 못할 것이다. 그러면 협박 같은 말로 아이를 자극한다. 부모가 참지를 못한 것이다. 내가 참을 수 있어야 가르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