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관성
-
시간을 넉넉히 주고 기다리기육아 2022. 9. 14. 12:58
불안한 부모가 아이의 시행착오를 겪는 모습을 못 보는데, 결과가 나쁠 경우를 생각해 불안해하는 것이다. 그러면 부모가 해주려고 한다. 그러면 결과가 좋아지기 때문이다. 아이에게 기회를 줘야 한다. 실패나 시행착오의 과정을 겪지 않으면 아이는 자신을 단련시킬 수 있는 기회가 없어진다. 그러면 자기 확신감은 떨어지게 된다. 아이는 조금만 어려워지더라도 금세 포기하고 해달라고 하거나 못한다고 해버린다. 그것도 아니라면 끊임없이 부모를 부르면서 해달라고 하게 될 것이다. 배우는데 오래 걸린다. 아이에게 무엇이든 가르쳐 주고 싶다면 차분해야 한다. 부모가 급하거나 불안이 높으면 아무것도 가르쳐줄 수가 없다. 부모가 먼저 개선돼야 한다. 부모가 다그치거나 불안해하면 아이도 당황한다. 그러면 과정을 하긴 하더라도 습..
-
달랠 수 없는 이유육아 2022. 8. 4. 10:45
잘 달래지지 않는 아이들은 있다. 세 가지 경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워낙 예민한 아이. 외부에서 오는 여러 가지 자극이나 상황을 과도하게 받아들이는 아이들이 있다. 자극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영향을 많이 받는 경우인데. 아이가 과민하다면 부모 중 한 사람이 과민한 경우가 많이 있다. 생물학적인 특성이 대부부 부모와 닮아 있기 때문이다. 아이가 나를 닮으면 아이를 통해 나를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와 같지만 내가 그럭저럭 살고 있는 것처럼 아이도 조금만 노력하고, 도와주면 잘 크지 않을까 생각한다. 아이가 예민한 부분에서 부모 자신도 과민하게 대하고 있는지 생각해 봐야 한다. 그렇게 아이를 대하는 태도를 바꿔가는 것이 좋다. 부모가 자신의 모습을 봤을 때 어릴 때는 몰라도 지금은 문제가 되..
-
칭얼대는 이유를 관찰하자육아 2022. 8. 3. 09:11
보통의 경우 일관성을 유지 아이가 칭얼대면 부모들이 시끄러워 아이의 요구를 들어준다. 이러면 아이가 이렇게 행동하면 들어준다고 생각하고 계속 칭얼댈 수 있다. 아무리 칭얼거려도 안 되는 것은 안 되는 것이라고 알려줘야 한다. 부모의 원칙이 일관되게 단호한 방법으로 나오면 아이는 곧 그 방법을 포기하게 된다. 조금 다른 요구도 있다. 부모에게 만족감이 부족해서 칭얼거리는 아이가 있다. 무언가를 계속 요구한다. 조금 다른 요구들이다. '나 좀 봐주세요', '내 말 좀 들어주세요'처럼 말이다. 부모에게 만족감이 떨어지는 것은 정서적으로 충분히 만족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부모에게 충분히 수용받지 못했다고 느끼는 것이다. 별일 아닌 것에 계속 칭얼대면 아이의 요구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거나, 수용이 부족한지 생각..
-
우리의 규칙을 확실해육아 2022. 7. 22. 12:46
규칙이 일관돼야 한다. 집에서는 단호하게 가르치지만, 밖에서는 달라지는 보모들이 있다. 이럴 경우 아이가 밖에서 일부러 안 되는 행동을 할 수 있다. 부모의 약점을 알게 된 것이다. 평소 사이가 안 좋거나 집에서 화를 많이 내는 부모라면, 아이는 복수심으로 그럴 수 있다. 부모들이 예의범절을 지키고 남에게 피해 주는 것을 싫어하는 경우가 많다. 사람의 시선을 많이 신경 쓰는 타입이라서 그렇다. 공공장소에서 시끄럽게 하면, 창피해하고 참지 못한다. 상황을 회피하려고, 아이의 말을 다 들어준다. 아이는 그것을 알고 이용한다. 어떤 장소이든 상황이 어떠하든 일관된 규칙을 적용해야 한다. 안 되는 행동을 하면 돈이 아까워도 집으로 돌아간다든지 미리 어떻게 할지 얘기하고, 그렇게 행동하는 것이다. 모임의 공간은 ..
-
확실한 설명과 단호함육아 2022. 7. 14. 16:59
누구나 독립의 욕구가 있다. 어린아이도 독립하려는 욕구는 있고, 점점 강해진다. "내가 할 거야"가 바로 그 증거다. 독립심을 키워가는 아이 스스로의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그러나 부모의 눈에는 그 욕구가 고집으로 보이는데, 우기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아이의 독립 욕구는 방법을 잘 모른다. 어떻게 해야 하는지, 해도 되는지, 옳은지를 모른다. 그래서 아이에게 정확하게 설명해주고 한계를 알려주는 것이다. 따르기 쉽게 간단하게 이유를 알려주는 것이다. 편안함을 찾는다. 설명을 해준다. 여기서 저기까지 그리고 이유를 간단히 설명한다. 설명을 하지 않으면 위험해서 하지 말라고 하는지, 곁에서 떨어지지 못하게 하는 것인지 알 수 없다. 아무리 얘기해도 본능은 독립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설명은 아이의 눈높이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