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행착오
-
시간을 넉넉히 주고 기다리기육아 2022. 9. 14. 12:58
불안한 부모가 아이의 시행착오를 겪는 모습을 못 보는데, 결과가 나쁠 경우를 생각해 불안해하는 것이다. 그러면 부모가 해주려고 한다. 그러면 결과가 좋아지기 때문이다. 아이에게 기회를 줘야 한다. 실패나 시행착오의 과정을 겪지 않으면 아이는 자신을 단련시킬 수 있는 기회가 없어진다. 그러면 자기 확신감은 떨어지게 된다. 아이는 조금만 어려워지더라도 금세 포기하고 해달라고 하거나 못한다고 해버린다. 그것도 아니라면 끊임없이 부모를 부르면서 해달라고 하게 될 것이다. 배우는데 오래 걸린다. 아이에게 무엇이든 가르쳐 주고 싶다면 차분해야 한다. 부모가 급하거나 불안이 높으면 아무것도 가르쳐줄 수가 없다. 부모가 먼저 개선돼야 한다. 부모가 다그치거나 불안해하면 아이도 당황한다. 그러면 과정을 하긴 하더라도 습..
-
부모가 정한 일방적인 기준육아 2022. 8. 9. 13:28
당장 하라는 말은 부모가 마음 편하자고 잡은 기준이다. 아이들이 지금 바로 시작을 해서 빨리 끝내기를 원한다. 그래야 나의 마음이 편하기 때문이다. 너무 딱딱한 기준으로 아이가 따르지 않으면 나의 불편한 마음 때문에 아이를 채근하고, 강요하면서 집요하게 여러 번 반복해서 말한다. 빨리빨리 하지 않아서 화날 때 생각해 보아야 하는 것이 있다. 나를 위한 것인지 아이를 위한 것인지를 말이다. 시행착오는 여러 번을 경험시켜야 한다. 아이는 그렇게 배우게 된다. 시행착오 경험이 없이 어른인 내 기준에서 옳고, 좋은 결과를 확신하며 빨리 하기를 강요하는 것도 내 마음이 불편하지 않기 위해서 인데, 아이의 시행착오를 경험하는 것을 볼 수 없어서 그런 불편한 마음이 싫어서 아이에게 시행착오를 경험시키지 않는 것이다...
-
부모가 먼저 개선하자.육아 2022. 7. 27. 11:58
부모도 잘못은 인정해야 한다. 어떤 가정의 아이가 엄마나 아빠의 말에만 토를 달고 얘기한다. 부모 입장에서 답답하기만 하다. 다른 사람에게는 괜찮은데 유달리 한 사람에게만 그러는 것은 아이와의 문제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을 해볼 필요가 있다. 아이가 우습게 여기든 편하게 여기든, 아이에게 공격적이었든, 대화가 안 되거나, 오해가 있거나, 어쨌든 둘 사이에 어떤 종류든 문제가 있는 경우이다. 아이가 특정 대상과 있는 경우에 문제 행동을 한다면, 잘 보아야 한다. 어른의 잘못이라면 인정하고, 해결 방법을 찾으면 된다. 부모가 바뀌어야 한다. 사람과의 관계는 작용, 반작용이 있다. 자극을 주면 자극에 맞는 반응을 보이는 것이다. 말대꾸도 그런 것이다. 아이의 말대꾸가 지나치나고 생각하면 부모가 아이를 자극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