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감
-
누구를 위해서 아이가 잘 되야 하는가육아 2022. 8. 19. 12:57
모든 부모는 아이가 똑똑하기를 바란다. 특별히 더 똑똑하기를 바라는 걸까. 아이가 잘되기를 원하고, 그래서 잘하기를 원한다. 아이를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부모인 나를 위하는 것이기도 하다. 개인의 개성이 중요한 시대 부모와 자녀가 분리되지 못하는 우리나라의 특성이 있다. 자식의 성공은 나의 성공, 가문의 영광. 서양도 가문이 중요하긴 했다. 현대 사회에서는 개인이 더 중요해지며 많은 변화가 있었다. 지금은 집안보다 개인이 중요한 시대다. 그런데도 여전히 개인을 독립체보다 집안의 일원으로 이해하는 문화가 있다. 개인을 알아갈 때도 부모와 가족까지 연결시키려 한다. 부모의 책임감이 허락하는 것 대표적으로 숙제가 있다. 안 해서 선생님께 벌을 받든 스티커를 못 받는 그것은 아이가 감당해야 한다. 부모가 지나치게..
-
부모의 기준을 점검하자육아 2022. 8. 17. 12:55
부모의 기준이 아이의 수준이 맞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부모는 기준이 왜 이렇게 높은지 생각해 보면, 아이가 잘못하면 책임을 져야 한다. '책임'의 일부는 잘 가르쳐서 잘하도록 해야 하는 관계일 때 생긴다. 부모는 아이가 잘못했을 때 뒷감당을 해 줘야 하는 입장이다. 그러니 아이가 잘했으면 좋겠다. 그래서 아이가 그 나이에 할 수 있는 기준과 부모가 바라는 기준에 틈이 벌이 진다. 그리고 기준이 계속 높아지기만 한다. 이이가 잘 못하는 것 같고 그 모습이 자꾸만 눈에 거슬리고 신경이 쓰인다면, 부모인 자신의 기준을 점검해야 한다. 아이 열 명중 일곱 정도가 하눈 수진이 기준이 되어야 한다. 가장 우수한 아이의 수준이 내 아이 기준이 되어서는 안 된다. 기준 속에 나의 어린 시절이 투영되고 있는 것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