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역활
-
결과에 관계없이 기분좋은 경험을 만들어주자육아 2022. 9. 16. 12:44
시도하지 않는 아이 중에는 결과에 대한 자신이 없어서 시도조차 안 하는 경우가 있는데, 불안감이 높고 소심한 아이들이다. 해냈다는 성공 경험도 필요하지만, 잘 안 되는 실패의 경험이 반드시 필요하다. 아이가 시도를 못하는 이유 사람이 살아가면서 모든 일에 성공을 할 수없다. 실패를 하는 경우가 더 많을 것이고, 그렇다면 성공의 경험보다 실패를 잘 받아들일 수 있는 경험이 중요하다. 그런데 무엇이든 잘못했을 경우 부모가 화를 낸다면 아이가 시도를 겁낼 수 있다. 결과를 받아들이는 것이 괴로운 것이 아니라 시도했을 경우 일이 끝날 때까지의 과정이 혼나고 기분 나쁜 기억으로 남기 때문이다. 부모는 옆에서 뭐라고 잔소리에 소리도 지르고, 아이는 울면서 하기는 했는데, 과정이 너무 힘든 경험이 되는 것이다. 결과..
-
부모가 먼저 개선하자.육아 2022. 7. 27. 11:58
부모도 잘못은 인정해야 한다. 어떤 가정의 아이가 엄마나 아빠의 말에만 토를 달고 얘기한다. 부모 입장에서 답답하기만 하다. 다른 사람에게는 괜찮은데 유달리 한 사람에게만 그러는 것은 아이와의 문제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을 해볼 필요가 있다. 아이가 우습게 여기든 편하게 여기든, 아이에게 공격적이었든, 대화가 안 되거나, 오해가 있거나, 어쨌든 둘 사이에 어떤 종류든 문제가 있는 경우이다. 아이가 특정 대상과 있는 경우에 문제 행동을 한다면, 잘 보아야 한다. 어른의 잘못이라면 인정하고, 해결 방법을 찾으면 된다. 부모가 바뀌어야 한다. 사람과의 관계는 작용, 반작용이 있다. 자극을 주면 자극에 맞는 반응을 보이는 것이다. 말대꾸도 그런 것이다. 아이의 말대꾸가 지나치나고 생각하면 부모가 아이를 자극하는 ..